안녕하세요 각구입니다.
오늘 이야기해볼 주제는 우리 일상 속에서 아주 중요하면서도 누구나 갑작스럽게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호흡이나 심장박동이 멈추었을 때 심폐소생술을 해야 합니다.
흉부압박,인공호흡 등의 과정을 통해 인공적으로 호흡을 유지하고 혈액순환을 시켜주는 응급처치법이며
빠른 시일내에 심폐소생술을 안 하게 되면 뇌와 심장 자체에 혈액공급이 중단되어 목숨을 잃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심정지로 인해 쓰러져 사망에 이르게 하는 위험한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심폐소생술 순서와 주의사항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 심폐소생술 순서
1. 의식여부 확인
쓰러져 있거나 심정지가 의심되는 사람이 보이면 일단 의식여부를 확인하고 환자를 반듯하게 눕힌 다음 , 약 10초 정도 어깨를 가볍게 흔들면서 큰 소리로 불러 반응을 확인합니다.
2. 주변 도움요청
의식이 없는걸 확인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큰 소리로 도움을 요청하며 119 신고 및 자동심장충격기를 요청합니다.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할때 특정 사람을 지목하고 요청을 하는 것이 좋으며 혹시나 아무도 없을 경우에는 직접 119 신고를 해야 합니다.
3. 기도 확보
환자의 얼굴과 가슴을 관찰하여 호흡이 있는지 확인 후 의식이 없는 경우 혀가 기도를 막아 호흡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머리를 젖히고 들어 올려 기도를 먼저 확보해야 합니다.
4. 흉부압박
환자를 단단한 바닥에 눕힌 후 손을 깍지를 끼고 가슴압박점에 대고 흉부압박을 합니다.
압박 시 팔꿈치가 굽혀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압박 후 가슴이 충분히 이완되도록 해야 하며 압박 깊이는 가슴이 5~6cm 눌릴정도, 1분당 100~120회 속도로 흉부압박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심폐소생술 주의사항
심폐소생술 주의사항은 인공호흡 시 가슴이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을 확인하며 비정상적인 호흡을 보일 경우 환자가 호흡을 한다고 오인해서는 안되며 그리고 인공호흡은 2회를 넘지 않으며 꼭 기도를 확보하여 실시해야 하며 흉부압박 후 누른 부위가 다시 되돌아오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우리 일상속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위급한 상황에서 심폐소생술 방법을 숙지하여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도록 합시다
'중년건강위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지정맥류 관리 한번에 알려드립니다 (2) | 2022.12.11 |
---|---|
겨울철 화재사고 예방 소화기 사용 모르면 손해 (3) | 2022.12.09 |
손톱 검은세로줄 건강 적신호 알아보기 (5) | 2022.12.06 |
눈 떨림 증상 진단 해결방법 (3) | 2022.12.05 |
침묵의 무서운 고혈압 관리 예방법 (1) | 2022.12.03 |
댓글